본문 바로가기
결혼

명절에 시댁에서 잠을 자야 한다는 게 너무 힘들어요 by 김경일 교수의 해결 방법

by aboutpeople 2023. 9. 27.
반응형

명절 되면 며느리들은 시댁가는 것도 스트레스지만 명절 음식 하는 일도 힘들지만 무엇보다 시댁에 가서 하루 이틀밤 잠을 자야 하는 일이 너무 힘들다. 시댁에서 잠 자는 게 너무 힘들고 스트레스라면 이 부분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이에 관계 전문가 심리학자 김경일 교수가 가족들이 가까이 산다면 권하는 해결책이다. 이 방법은 가족이 멀리 사는 경우는 좀 어려울 수도 있다. 
 

시댁에서 잠자는 일이 힘들어요


 
 
 
 
 
 

명절이 너무 싫어요
시댁에서 자는 게 힘들어요
시댁 가는 게 싫어요
명절 스트레스

잠은 집에서 자고 싶어요

 
 
 
 
시댁에서 잠을 잔다는 거.. 어쨌든 남의 집이다. 힘들다. 진짜 힘들다. 이걸 조금씩 줄여야 한다. 점진적으로 조금씩 조금씩 줄여야 한다. 
 
 
 
 
시어머니 입장에서는 내 아들 손주들이 와서 이틀이나 잠을 잔다고 해서 '우리 아이들이 집에 와서 이틀이나 자고 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지금 많이 못 보면 또 다음 명절에 본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좀 더 무리하게 보려고 더 오래 있다 가게 하려는 마음이 강해진다. 다이어트 하는 사람이 오늘은 치킨 먹을 수 있다. 라고 했을 때 또 언제 치킨 먹을 지 모르는 심정과 비슷하다. 
 
 
 
 
이걸 해결하려면 평소에 잘게 잘게 썰어야 한다. 평소에 잘게 잘게 자주 뵙는 거다. 일년에 서너번만 해도 된다. 시댁도 친정도 그 때 그 때 만나고. 밖에서 만나는 거다. 당일 최대 4시간이라는 한계선을 정해 놓고 보는 거다. 
 
 
 
 
부모님들을 문득문득 뵙는 거다. 만남도 집이 아니라 웬만하면 밖에서 외식을 한다. 모든 가족이 서비스를 받으며 외식을 하면 일하는 사람 일 안하는 사람 따로 소외되는 일 없이 이야기를 많이 할 수 있다. 상황이 허락한다면 이렇게 하는 게 좋다. 시댁 부모님이 어른들이 '명절 아니면 못 볼텐데..'라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얼굴을 종종 비치는 거다. 
 
 
 
 
 
명절이 아니면 내 자식들을 못본다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평소에 자주 얼굴을 비치는 것을 김경일 교수는 해결방법으로 제안했다. 당신은 시댁에서 잠 자는 일이 어려운가? 가까이 산다면 이 방법을 시도해 보는 것은 어떨까?
 


 
 
 



모두에게 통하는 방법은 아닐 것이다. 가까이 있을 때 평소에 자주 뵈어도 명절은 또 다른 의무적인 날이니까. 그래도 점진적으로 그렇게 시도해 보려 한다.  뭔가 며느리는 가족이기보다는 세 부류 즉, 손님. 가족. 그리고 시중드는 사람. 이렇게 세 그룹으로 나뉘어지는 시간들 속에서 시중드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크기 때문이다. 나도 가족으로써 함께하고 싶으니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