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

자존감 자존심 자기애의 차이 비교 조선미

by aboutpeople 2024. 5. 7.
반응형

사회생활의 첫 걸음, 초등학교 시기에서 중요한 자존감 자존심 자기애착의 차이를 조선미 선생님의 이야기로 알아본다. 
 
 

반응형

 

자존심 자존감 자기애의 차이 비교

자존심  

자존심은 자기에게만 있는 자의식이다.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는가에 민감한 것. 자존심 센 사람들은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는가에만 몰두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나는 잘 차려 입었다고 생각하고 나간 자리에서 '왜 옷을 그렇게 입고 오셨어요?'라는 말을 들으면 기분이 확 상하는 것. 나는 이렇게 보이고 싶은데 그렇게 안 되었을 때 마음 상하는 것이 자존심이다. 
 
 

자존감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가?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자존감이다. 이처럼 자존감은 자기 스스로를 존중하고 괜찮은 사람이라고 보는 것이다.
 
 

자기애  

자기애 스스로 자신을 사랑하기 때문에 마치 자존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자기애는 내가 나를 사랑하는 만큼 남도 나를 그만큼 사랑해야 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또래 관계에서 '나 예쁘지?' 이렇게는 물어볼 수 있다. 그런데 '나만 예뻐야 하고, 남들도 다 인정해 줘야 하는' 그래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기애와 사회성 

자기애의 경우, 외동의 경우가 많긴 하지만 꼭 외동이 아니아도 집안에서 어른들의 시선을 한 몸의 받는 경우,  집에서 엄마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 이 아이만 쳐다 볼 빼. 이 시선들이 쫙 모이면 내가 정말 대단한 사람이구나!!라고 느끼게 되고.  이 많은 사람들이 나를 얼마나 대단하다고 봐주는지가 중요해진다.

이런 감정이  이어지면 초등학교에 가서도 나타날 수 있다. '내가 다른 애들보다 더 나아.' 내가 다른 애들보다 더 예뻐.' 이게 자기애가 되는데 이 때 문제는 남들은 나보다 '모자르거나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러면 사회성을 기를 수 없다. 그러니 '우리 애만 예쁘다' '우리 애는 특별해'라고 키우면 사회성을 망치게 된다. 
 
 
 by 조선미 in 하우투




총등학교 입학 자녀 아이 키우면서 꼭 기억해야 하는 것 

 
객관적으로 자녀를 바라볼 줄 알아야 한다 : 내 자식이 뭘 하든 내 눈에은 이쁘지만, 남의 눈에는 이쁜 짓을 해야 이쁘다. 내 자식이 남의 눈에도 이뻐 보이게 교육시키는 게 부모의 역할인 것 같다.  
 
 지능보다 중요한 사회성 : 사교성이 꼭 사회성은 아니다.
 
엄마들이 자기 아이 말만 믿고 엄마들끼리 충돌하기도 한다. 자기중심적인 아이들이 정말 많다. 그걸 조절해줘야 왕따 안 당하는데 이기적이면 은근히 무리에 모 씬다. 그러고 화난다고 감정조절 못하는 아이는 무리에서 기피당한다. 부모도 선생님도 좀 더 아이를 신경써주면 좋아지는데 그 시기를 놓칠 때가 있다. 
 
자기 아이가 거짓말하는지도 모르는 엄마들 정말 많다. (당신도 그리고 누구든지 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기다려주기만 해도 해결된다 : 초등학교 입학 앞둔 엄마들, 또는 초등 저학년 필수 시청입니다. 
 
좀 더 일찍 보았더라면 좋았을텐데.. 성인이 된 자식이 이기적이고, 사회성이 모자르는 것 같아서 지금 힘들고 마음이 아픕니다.. 
 
스물살 전까지는 집에서 엄마 아빠가 '니가 최고다' '뭐든 잘하고 이쁘다' '너같은 딸 없다' 이런 말 많이 들어서 자존감은 높은데요. 문제는 남 앞에서는 그런 말 못듣고, 못듣겠고, 나서지도 못해요. 집안에 화초처럼 자라다가 20살 넘어 대학 가니까 아무도 저를 바라봐 주지 않더라구요.  (실제로는 결핍일수도.. 그래서 자꾸 확인하게 되는..)
 
어른도 못하는 사회성을 이제 갓 8년 살아온 아이들이 잘하길 바라는 건 너무 큰 욕심 인 것 같아요. 성격뿐 아니라 사회성은 경험을 통해 충분히 배우고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너무 정신과 의사들이 많아져서 아이들을 자꾸 환자 취급하는 것도 참 씁쓸한 현실 같아요. 라떼는 부모가 교육을 안 받아도 아이들이 잘 자랐는데요..
 
 
 
 
위는 함께 달린 댓글들. 나와 같은 혹은 다른 의견들로 하여금 생각정리하면서 깨달음을 얻으 시간이었다. 오늘도 하우투 조선미 선생님의 말씀 감사히 기록한다.

반응형